온난화 직격탄 맞은 북극…해빙 면적 역대 최소 <br />상공 ’극 제트’에 변화…’북극 진동’ 변화 심해져 <br />북극 한파, -15℃ 이하 열흘∼보름 정도 이어져<br /><br /> <br />최근 겨울철 추위의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바로 '북극 진동'입니다. <br /> <br />'음의 북극 진동'이 나타나면 이번 겨울처럼 우리나라에 강력한 '북극 한파'가 발생하는데요, <br /> <br />다행히 남은 겨울에는 '북극 한파'가 재현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지역 가운데 한 곳이 바로 북극입니다. <br /> <br />기온이 상승과 하강에 따라 바다 빙하로 가득한 북극의 상공에 큰 변화가 생깁니다. <br /> <br />상공에는 강력한 소용돌이, '극 제트'가 수십일, 혹은 수십 년을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데 이를 북극 진동이라고 부릅니다. <br /> <br />북극 온도가 올라 북극 진동 지수가 음으로 전환되면 '극 제트'가 약화하며 강력한 한기가 중위도로 밀려 내려갑니다. <br /> <br />올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의 강력한 북극 한파가 나타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반면 양의 지수가 되면 '극 제트'가 강화돼 한기가 그대로 머무르며 지난겨울처럼 이례적으로 포근한 겨울이 됩니다. <br /> <br />[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: 온난화의 역설이라고 하죠, 북극 한기가 매년 중위도까지 남하하며 겨울이 무척 추워지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북극 한파는 서울을 기준으로 영하 15도 아래로 기온이 떨어지고 열흘에서 보름 가까이 계속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반적인 겨울 추위가 '삼한사온'으로 나타나는 것과 큰 차이를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주말과 휴일에 나타나는 영하 10도 안팎의 강추위를 '북극 한파'로 부르지 않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남은 겨울 동안 '북극 한파'가 재현될 확률도 낮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는 주기적으로 강추위가 찾아온 뒤 이삼일 정도 이어지다 풀리는 전형적인 겨울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1011600113288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